-
달리기 운동은 특별한 기구나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쉽게 시작할 수 있는 운동이다. 또한 최근 건강 유지와 체력 증진의 한 방편으로 마라톤에 대한 열기가 대단하여 직장에서도 동호회를 결성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특히 겨울철에는 추위로 인하여 집안에서 지내는 시간이 많아 자칫 운동부족에 빠지기가 쉽기 때문에 겨울철에 운동을 시작하려는 사람들이 많다. 겨울철 운동은 다른 계절의 운동과 비교하여 주의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추위로 인하여 몸이 굳어 있는 상태로 순환기 계통에 영향을 주어 뇌졸중이나 심장마비 등을
기획연재
의학신문
2002.01.02 10:14
-
최근('01.10.26) 만성신부전증 환자 한 분으로부터 감사 편지를 받았다. 편지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보건복지부 장관님 귀하 안녕하십니까. 저는 경북 고령군의 시골마을에서 살고 있는 임○○입니다. ……저는 시골의 자그마한 별정우체국에서 사무원으로 근무하여 오면서 그런대로의 사회생활과 가정생활을 꾸려왔습니다. 그러던 중 1997년에 만성신부전증이라는 병명을 진단받아 지금은 주 3회에 걸쳐 혈액투석으로 치료를 받고있습니다. 만성신부전증이라는 병이 원래 온몸이 피곤하고 ……직장생활을 계속할 수가 없어 직장생
기획연재
의학신문
2001.12.24 12:46
-
정부가 5월 재정안정대책을 발표한 이후 일부 언론계 및 시민단체에서는 재정적자를 메우기 위해 국민들의 부담만 가중시켰다는 비난이 있었다. 특히 비난의 초점이 되었던 것은 정부가 의원급 환자의 외래본인부담을 올려 가난한 서민들의 의원 문턱을 높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비판은 그동안 잘못 운영되어 왔던 의원급 본인부담제도를 개선하여 사회보험의 원리에 충실하게 운영하여 중증질환에 대한 서민들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정부의 진의를 오해한 데서 비롯된 것 같다. 따라서 앞으로 본인부담금 제도의 운영사례를 상세히 살펴보고 재정안정대책에 나온
기획연재
의학신문
2001.12.06 11:04
-
단하루를 내다보지 못하고 살고 있다는 내자신이 부끄럽기만 합니다. 운명이 재천이라면 하나님이 원망스럽습니다. 아직도 많은 일을 맏길수 있는 훌룡한 인재를 갑자기 데려가신 이유가 무엇입니까? 아마도 하늘나라에 더좋은 직분을 주시려고 모셔 가신 것으로 알고 이제 고인의 명복을 멀리서나마 두손모아 빌며 잠깐 추모해 봅니다. 1973년 5월, 우리 둘이 가톨릭의대 성형외과를 시작해 오늘의 눈부신 發展을 가져온 산역사의 주인공인 고인은 정말 獻身的이었습니다. 당시 첫날 첫수술은 언청이 矯正術이었지요. 수술후 한시간이 멀다하고 환자를
기획연재
의학신문
2001.12.03 17:19
-
병원계, 전산·서비스분야 낙후전산시스템 강화 - 기기 공동구매 전략 필요全병원 조직·업무 단계적 구조조정도 요구 빌 게이츠는 그의 저서 '생각의 속도'에서 미국 병원 및 미국 의료시스템의 문제를 신랄하게 비평한 바 있다.그는 병원의 의무기록관리의 문제점 등을 사례로 들며 현재 미국의 의료시스템이 미국 산업에서 가장 낙후되었음을 지적하였다. 이와 비슷한 시기에 레지나 헤이츠린거 하바드 경영대학원 교수 역시 그녀의 저서 Market-Driven Health Care(한국판:의료서비스 시장의 최후의 승자)에서 미국 병원 경영시스
기획연재
의학신문
2001.11.05 13:41
-
우리나라 노인병원은 어디로 갈 것인가 노인보건시설의 주요 시설을 보면, 모든 병실에 공기정화기를 설치하고 있고, 침상형 목욕기와 반좌위 목욕기가 배치되어 있으며, 환자 가족 상담실, 침대 높이를 낮출 수 있는 자동 침대, 병실 출입 문턱의 제거 등을 통해 노인을 위한 시설로 개조했다. [전문병원으로 경영혁신 사례] 일본의 후꾸오까현 후꾸오까시에 위치하고 있는 후꾸오까기념병원은 1959년도에 개설된 일반병원이다. 현재의 병상수는 220개 이다. 그간, 일반병원으로서 운영을 해오고 있었으나, 최근 병원
기획연재
의학신문
2001.10.25 10:13
-
우리나라 노인병원은 어디로 갈 것인가 개호보험에 적용 받은 노인보건시설은 1986년에 개정된 노인보건법에 의해 생긴 일종의 중간시설로서 회복기나 안정기에 있으나, 재활, 간호, 생활지지 등 의료가 요구되는 노인들에게 의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노인을 수용하는 시설이다. 노인홈이나 병원과 달리 지역이나 가정과의 연결을 중시하는 시설이다. 각 시설에서는 요양비로서 노인보건시설 요양비를 지급 받으며, 환자당 월 6만엔 정도를 받고 있다. 2001년 4월에 개호보험이 도입되어 만 일년이 지난 지금
기획연재
의학신문
2001.10.18 10:55
-
인간게놈의 완성에 힘입은 의학계는 암정복, 만성퇴행성 질환의 퇴치등 불치병을 정복하여 인간의 건강한 수명을 극대화 시키는 것을 21세기의 목표로 삼고 있다. 의학계는 지난 한 세기동안 기초학문연구를 바탕으로 진단기술의 혁신과 새로운 치료기술의 확립, 신약개발등 생명공학분야의 큰 진전을 이룩해 왔던게 사실이다. 그러나 아직 의학계는 암, 뇌혈관질환, 만성퇴행성 질환, 신종 감염병 앞에서는 적지않은 한계를 느끼고 있으며, 이의 극복을 위한 축적된 의학적 연구역량을 요구받고 있다. 더욱이 기초의학 연구부분에 있어 투자와 관심이 상대적으로
기획연재
의학신문
2001.10.11 14:15
-
우리나라 노인병원은 어디로 갈 것인가 연령별 의료비 지출구조를 보면 주로 60세에서부터 89세까지가 의료비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연령군으로 나타났다. [병원의 기능 재편성] 의료는 급성기 의료와 만성기 의료로 구분이 되며 만성기 의료는 입원기간이 장기를 요하는 질환인 경우를 말한다. 급성기 의료를 담당하는 의료기관은 병원이며, 만성기 의료를 담당하는 대표적인 의료기관은 요양병원이다. 병원의 기능은 과거의 일반병원에서 현재 급성기 의료를 담당하는 특정기능병원과 지역의료지원병원, 그리고
기획연재
의학신문
2001.10.08 10:45
-
[서론] 뇌의 니코틴 수용체(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의 선택적인 감소가 알츠하이머병(AD)의 진행을 반영하는 생화학적 지표가 된다는 증거가 많이 나오고 있다. 알츠하이머병 초기에는 전두엽의 상부 피질층과 측두엽에서 니코틴 수용체 중 주로 특히 α4 subunit를 가진 subtype의 감소가 나타난다. 포유류의 뇌에는 니코틴 수용체가 많이 존재하는데 α4β2와 α7 subtype가 대부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모두 시납스후 세포막뿐만 아니라 시납스전 세포막에도 위치한
기획연재
의학신문
2001.09.24 10:19
-
'정도관리'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우리 협회가 정식으로 창립한지 25주년을 맞게 되었다. 20주년을 기념한 국제심포지엄을 세종문화회관 국제회의장에서 개최한 것이 엊그제 같은데 벌써 5주년이 지나갔다. 이런 기분이라면 30주년은 더욱 빨리 다가올 것이다. 우리 협회의 전신인 대한임상검사정도관리학회를 창립하신 원로회원들께서 건승하시어 30주년 뿐만 아니라 50주년 기념식까지도 빛내 주시기를 간절히 소망해 본다. [우리 협회의 어제와 오늘] 우리나라에서 임상검사 정도관리의 개념과 역할이 구체화되기 시
기획연재
의학신문
2001.09.17 12:38
-
우리나라 노인병원은 어디로 갈 것인가 [서 론] ▲논의의 배경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남녀평균 74세로 65세이상 고령자는 이미 7%를 넘어 고령화사회를 맞이하였으며, 2020년에는 14%로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치매성노인 및 와상노인 등 요개호 노인이 급증할 것이다. 노인의 질병발생 양상은 주로 만성기이며 의료이용 횟수 또한 증가하게 되어 노인을 위한 의료시설이 필요한 상황이다. 최근 정부는 장기요양기관 육성을 위해 장기요양 수가체계를 개
기획연재
의학신문
2001.09.17 12:00
-
영화 '老親'에서 보는 개호문제역할분담 있을때 介護 고통 해소고령자 학대 예방위한 제도적 장치 필요介護制度, 사회가 노령환자 책임지는 차선책 '노친'이라고 하는 극영화가 소극장에서 개봉된 것이 2001년 3월 24일의 일인데, 이후 일본 각지에서 화제와 감동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제작감독 마키츠보 다즈꼬, 원작 가도노 하루꼬(門野晴子), 출연은 만다 히사꼬(萬田久子), 고바야시 게이쥬(小林桂樹), 쿠사부에 미츠꼬(草笛光子), 오까모토 아야(岡本綾) 등이다. 상영시간 1시간 52분, 기획제작은 유한회사 파오.마키노 감독은
기획연재
의학신문
2001.08.30 11:15
-
치매증의 조기진단(시계묘사법 등) 개호담당 '단골醫' 진단책임 높아져시계그림 원리 'CD 진단법' 간편하고 유용노인성 치매 적극적인 진단의식 확립 필요 일본에 개호보험이 도입된 이래, 개호의료를 하고 있는 '단골의'에 대해서 치매증의 조기진단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지금까지 치매증은 정신신경과 혹은 노년의학의 영역에서 활발히 연구되어 왔지만, 일반내과의에게는 심각하게 문제로 되었던 사례는 그다지 없었다.일본에서는 알츠하이머형 치매(ATD)를 진단하는 확률은 약25%에 머물고 있고, 그리고 재택의 ATD 환자가 의
기획연재
의학신문
2001.08.28 09:49
-
日本과 독일의 비교 독일은 이미 1880년에 사회보장제도를 최초로 만든 복지국가이다. 독일도 동양의 나라와 같이 전에는 딸이나 며느리가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의 인생을 희생하며 노친을 개호하는 여성이 있었다. 그러나 제2차대전 후의 50년간에 어버이와 자식은 별거하는 것이 보통이 되었다. 배우자와의 사별이나 이혼 등으로 혼자사는 노인이 증가하여 독일에서는 일찍부터 개호의 사회화에 착수하여 왔다. 프랑스도 스웨덴도 가족이 노친을 개호하는 것을 오래 전에 그만두었다. 일본의 개호보험제도는 21세기 초고령사회를 맞이하
기획연재
의학신문
2001.08.28 09:37
-
개호보험 실시 1년의 문제점 [치매노인 개호 문제] 고령화사회를 맞이하여 치매는 급속히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치매에 대한 예방과 치료법을 확립하는 것은 오늘날의 긴급 과제이다. △자신의 경험의 실례:98세의 남성. 뇌혈관장해 등의 旣往歷은 없다. 6년 전부터 치매증상이 서서히 진행되어 이제는 고도에 달하여 있다. 치매의 일상생활 자립도는 랭크Ⅳ, 要介護度認定은 4로 重度이다. 妻와 死別하고 딸 부부와 3인 생활. 幻視, 晝夜逆轉, 배회, 尿便失禁에 의한 不潔行爲 등이 있다. 밥을 사발에 담으면 모
기획연재
의학신문
2001.08.21 20:25
-
개호보험 실시 1년의 문제점 주치의란 '단골의사'라고도 하는데, 개호보험(NHI) 이용자인 환자가 가장 가까이에 있는 의사를 가리킨다. 주치의와 케어 매니저는 케어 매니지먼트를 행하는데 있어서 긴밀한 관계를 쌓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의사와의 連携가 어렵다'고 하는 케어 매니저도 많다.앞으로 더욱 진전될 고령화 사회에 있어서, 일본의 개호보험제도는 2000년 4월부터 지역을 포괄적으로 추적하는 수단으로서 발족하였다. 개호보험제도에 편입되어 있는 의료적 측면에서의 케어 매니저와 의사의 역할 분담에 대하여 생각해보았다.&nb
기획연재
의학신문
2001.08.21 19:53
-
姜 健 榮 東北大學醫學部卒業 및 同大學院修了. 內科學專攻. 醫學博士.第1回 日米癌協力事業米國派遣硏究者, 米國알라바마州 헌츠빌名譽市民, 美國츄렌大學助敎授, KMA關西支部會長, 大阪府介護認定審査會委員. 現在, 榮和會 大同크리닉院長 主要著書: 醫學論文 『醫學論文集(1)』, 分擔執筆『新內科學體系』, 『新內科學』隨筆集 『寒椿』『 の森』『 檀の木』외 2編.詩集5編, 『梵鐘をたずねて』(1999年, アジアニュ-スセンタ-), 『李朝の美-佛畵と梵鐘』(2001年, 明石書店).日本介護保險에 대한 論文 5編(醫療濟州)
기획연재
의학신문
2001.08.14 15:15
-
개호보험 실시 1년의 문제점- 강건영 재일한국인의사회 관서지부 회장 [시설 의한 비용부담 差] 시설 가운데에는 介護保險給付의 대상이 되는 개호서비스 요금 외에 일상생활로서 간식비나 行事代를 實費로 청구하는 곳이 상당히 있다. 保險給付對象의 서비스요금은 1할이 자기부담이지만, 일상생활비, `간식비, 식기대, 샴프대, 차값'은 전액 자기부담이 된다. 여기에서 자기부담의 차가 생기게 된다. 시청으로부터 일람표를 건네받아서, 여기에서 선택하여 달라고 말해도 어디가 좋은 시설이고 양심적으로 개호해 주는 시설인가를 결정하
기획연재
의학신문
2001.08.09 12:53
-
개호보험 실시 1년의 문제점-강건영 재일한국인의사회 관서지부 회장 최근들어 노인인구가 급증하고 있고, 상대적으로 건강보험 재정난은 심화되어 정부가 노인요양보건사업을 추진하는데 어려움이 야기되고 있다. 물론 정부는 국민의 건강한 노후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요양병원 확충, 치매센터의 건립등 제도적 장치와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 중이다. 이에 본지는 지난해 부터 본격 실시되고 있는 일본의 개호보호 제도를 통해 우리가 추구해야 될 개호사업의 방향성을 조망하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본란을 통해 소개될 일본의 개호보험제도는 재일 한국
기획연재
의학신문
2001.08.09 12:51